 
						학력사항
| 날짜 | 내용 | 
|---|---|
| -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 
| -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 
| -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 
경력사항
| 날짜 | 내용 | 
|---|---|
| 2019 ~ 현재 | 채만식학회 상임이사, 편집위원 | 
| 2015 ~ 현재 | 구보학회 상임이사, 편집위원 | 
| 2015 ~ 현재 | 한국현대소설학회 상임이사, 편집위원 | 
| 2014 ~ 현재 | 국어문학회 상임이사 | 
| 2014 ~ 2020 | 상지대학교 조교수 | 
| 2011 ~ 현재 | 김유정학회 상임이사, 편집위원 | 
| 2010 ~ 2011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 
연구실적
| 날짜 | 내용 | 
|---|---|
| 2015 ~ 2017 | 초기 신소설을 저본으로 한 모방 텍스트의 양상 연구(책임연구원) | 
| 2013 ~ 2014 | 이해조 신소설을 저본으로 한 모방, 번안 텍스트의 양상 연구(책임연구원) | 
| 2012 ~ 2013 | 근대 초기 서사 텍스트의 저작, 번역, 번안 개념에 관한 고찰(책임연구원) | 
| 2010 ~ 2011 | 한국근현대장편소설사전 편찬사업(전임연구원) | 
교수논문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20.04 |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도시의 일상과 이동 경로 | 구보학보 | - | 
| 2019.12 | 변혁 주체로서의 농민과 동반자로서의 지식인 | 현대소설연구 | - | 
| 2019.09 | 1930년대 장편소설의 연애 구도와 여성 중심 서사의 가능성 | 국제어문 | - | 
| 2019.05 | 전향을 바라보는 시선과 시사적 인유의 작법 | 우리어문연구 | - | 
| 2018.12 | ‘수난’과 ‘모색’의 서사,그리고 ‘선택’의 문제 | 현대소설연구 | - | 
| 2018.05 | 최명익 소설의 세속과 탈속 | JKC | - | 
| 2017.12 | 이근영의 <청천강> 연구 | 구보학보 | - | 
| 2017.09 | 여성 인물의 운명과 소설 공간의 위계 | 현대소설연구 | - | 
| 2017.08 | 김교제의 <목단화>,<화중왕>과 박철혼의 <홍안박명> 비교 연구 | 현대문학이론연구 | - | 
| 2016.12 | 초기 신소설을 저본으로 한 모방 텍스트의 양상 연구 | 구보학보 | - | 
| 2015.09 | 이인직 초기 신소설의 모방 및 표절 텍스트 양상 연구 | 우리어문연구 | - | 
| 2015.02 | 해방기 좌익 문학단체의 성격과 ‘민족문학론’의 전개 | 국어문학 | - | 
| 2014.12 | 이해조 신소설을 저본으로 한 모방,번안 텍스트의 양상 연구 | 현대소설연구 | - | 
| 2014.06 | 김유정의 현실 인식과 아이러니의 한 양상 | 현대문학이론연구 | - | 
| 2014.05 | 근대 초기의 비평 논쟁과 ‘묘사’ 개념의 구체화 과정 | 우리어문연구 | - | 
| 2014.04 | 최명익,<심문>의 인물 형상화와 ‘만주’ 인식의 상관성 고찰 | 현대소설연구 | - | 
| 2013.09 | 소설 교육과 텍스트의 계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 | 
| 2013.06 | 근대 초기 서사 텍스트의 저작,번역,번안 개념에 관한 고찰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 - | 
| 2013.05 | <무정> 후일담의 소설교육적 가치 | JKC | - | 
| 2013.01 | 은국산인의 <누구의 죄>와 무서명 <박쥐우산>의 필자 문제 | 우리어문연구 | - | 
| 2012.09 | <조선일보> 첫 연재소설 관해생의 <춘몽> 고찰 | 정신문화연구 | - | 
| 2012.09 | 정한숙 장편 <끊어진 다리>에 나타난 성인 화자와 회고담의 특질 | 현대문학이론연구 | - | 
| 2012.09 | 해방 전후의 안회남과 두 개의 <풍속> | 비평문학 | - | 
| 2012.04 | <조선일보> 초창기 연재 번역 번안소설과 현진건 | 어문논집 | - | 
| 2012.01 | 한국 근대 초기 서사담론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우리어문연구 | - | 
| 2011.12 | 김유정 소설의 여성인물과 ‘정조’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 - | 
교수저서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20.04 | 옥중화 주해 | 흐름출판사 | - | 
| 2020.01 | 소설사의 맥락과 텍스트의 계보 | 월인출판사 | - | 
| 2019.05 | 전망 없는 시대, 전망을 찾는 소설 | 월인출판사 | - | 
| 2019.04 |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운영전/영영전 | 서연비람 | - | 
| 2019.01 |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허생전/양반전 | 서연비람 | - | 
| 2018.12 |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최척전/주생전 | 서연비람 | - | 
| 2018.10 |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구운몽 | 서연비람 | - | 
| 2018.10 |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홍길동전 | 서연비람 | - | 
| 2015.08 | 김유정과의 향연 | 소명출판 | - | 
| 2015.01 | 군산의 근대 풍경 : 역사와 문화 | 도서출판 선인 | - | 
| 2013.12 | 한국학 사전 편찬의 현황 | 지식과 교양 | - | 
| 2013.04 | 계몽과 통속의 소설사 | 월인출판사 | - | 
| 2013.03 | 김유정과 동시대문학 연구 | 소명출판 | - | 
| 2012.02 | 김유정의 귀환 | 소명출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