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력사항
| 날짜 | 내용 | 
|---|---|
| -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 
| -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 
| - |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 
경력사항
| 날짜 | 내용 | 
|---|---|
| 2005 ~ 2006 | 가천대학교 Post. Doc | 
| 2006 ~ 2011 | 건국대학교 교양학부 강의교수 | 
| 2014 ~ 2018 | 상지대학교 조교수 | 
| 2015 ~ 현재 |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편집위원 | 
| 2017 ~ 현재 | 동화와번역연구소 학술이사 | 
| 2017 | 경찰청 경찰공무원(순경)시험 출제위원 | 
연구실적
| 날짜 | 내용 | 
|---|---|
| 2005 ~ 2006 |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연구책임자) | 
| 2007 ~ 2008 | 동화의 형성과정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연구책임자) | 
| 2007 ~ 2010 |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연구책임자) | 
| 2010 ~ 2011 | 세계아동문학작품 속에서 본 가족의 의미 연구(공동연구원) | 
| 2013 ~ 2016 | 북한 과학환상문학과 유토피아(연구책임자) | 
| 2016 ~ 2018 | 해외 한국문학사의 문화횡단적 연구(공동연구원) | 
| 2022 ~ 2024 | 북한 중장편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수령 없는 유토피아와 성충동의 역할(연구책임자) | 
교수논문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23.12 |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중동태의 윤리와 아름다운 가상 | 현대소설연구(92) | 서동수 | 
| 2023.12 |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 ‘읽기’ 교과목 수업 사례 연구 -신한대학교 기초 교양 과목 <대학국어>(1)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연구실천7(2) | 서동수 | 
| 2023.06 | 북한 중·장편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수령 없는 공동체’와 18-19세기 유토피아 사회주의 | 동화와번역(45) | 서동수 | 
| 2022.12 | 구원의 주체와 사랑의 혁명성: 영화 <거룩한 소녀 마리아>와 <퍼스트 리폼드>를 중심으로 | 스토리앤이미지텔링(24) | 서동수 | 
| 2022.06 | 전환의 시대, 교체되는 부르주아와 자본주의의 유령들 -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1842)을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43) | 서동수 | 
| 2021.12 | 히어로와 빌런의 변증법과 질문의 윤리학 서동수스토리앤이미지텔링 연구소 | 스토리앤이미지텔링(22) | 서동수 | 
| 2021.06 | 2000년대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양상과 특징 | 동화와번역 | - | 
| 2020.08 | 김정은 시대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체제 문제와 두 개의 팔루스 | 구보학회 | - | 
| 2020.06 | 김정은 시대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수난의 서사와 메시아니즘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 | 
| 2020.03 | 김정은 시대 북한 과학환상 문학의 특이점 - 가상의 현실화, 현실의 가상화 | 현대소설연구 | - | 
| 2019.08 | 좀비, 엑스니힐로의 주체와 감염의 윤리 | 대중서사연구 | - | 
| 2019.06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과 의미 | 동화와번역 | - | 
| 2018.12 | 재난사회의 은유와 가족 그리고 전통-<바닷마을 다이어리>와 <심야식당>을 중심으로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 | 
| 2018.12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가족서사와 미국이라는 ‘무서운 아비’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 | 
| 2018.10 | 일본, 중국의 한국문학사 서술에 나타난 카프의 양상 | 비교문학 | - | 
| 2017.12 | 스펙터클의 스토리텔링과 소비의 신화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를 중심으로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 | 
| 2017.06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로봇이라는 타자와 언캐니 그리고 신적 폭력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 2016.08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과잉열정’과 과학적 해결방식 | 한민족어문학 | - | 
| 2016.03 |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내적형식과 교육서사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 2015.06 | 김유정 문학의 유토피아 공동체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 | 
| 2015.02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파타포(pataphor)적 상상력과 향유 없는 유토피아 | 현대문학의 연구 | - | 
| 2015.01 |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과학의 현장성과 소련의 영향 -현장중심의 과학담론과 주제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우리어문연구 | - | 
| 2014.06 | 북한 과학환상소설의 환상성과 인물의 형상화 방식 | 동화와번역 | - | 
| 2013.12 | 망각의 번역과 자기구원의 서사-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 2013.12 | 북한과학환상문학의 형성과 소련의 역할-1950-60년대 우주여행 모티브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 | 
| 2013.06 | 학교라는 시뮬라크르와 폭력의 시스템-영화 <돼지의 왕>을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 | - | 
| 2012.12 | 북한과학소설에 나타난 제국의 시선과 인종주의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 2012.06 | 북한 과학환상소설에 나타난 무오류주의와 수령의 재현방식 | 동화와번역 | - | 
| 2011.08 | 한국전쟁기 유진오의 글쓰기와 피난의 윤리성 | 우리말글 | - | 
| 2011.06 | 환멸의 세계와 문제적 개인의 탄생 -손창섭의 『싸우는 아이』를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 | - | 
| 2010.12 | 모윤숙의 피난 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 2010.06 | 북한 과학환상소설에 나타난 사회주의 낙원과 역사적 조건들 | 동화와번역 | - | 
| 2010.01 | 지역의 분할과 반공윤리의 생산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교수저서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19.05 | 월경하는 한국문학사 | 소명출판 | - | 
| 2018.04 | 북한과학환상문학과 유토피아 | 소명출판 | - | 
| 2016.04 | 김유정의 문학광장 | 소명출판 | - | 
| 2016.02 | 한국문화와 콘텐츠 | 한국문화사 | - | 
| 2015.02 | 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 역락 | - | 
| 2012.08 |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 소명출판 | - | 
| 2011.07 | 문학의 표정 | 박이정 | - | 
| 2010.07 | 한국여성작가연구-최정희.김지원 | 한국학술정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