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력사항
| 날짜 | 내용 | 
|---|---|
| 2006.05.14 | University of Illinois 인류학과 박사 | 
| 1995.02.14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 
| 1990.08.24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 
경력사항
| 날짜 | 내용 | 
|---|---|
| 2010.09 ~ 2010.12 | 서울여대 바롬교양대학 강사 | 
| 2009.03 ~ 2009.12 |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학부 강사 | 
| 2008.09 ~ 2008.12 |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 
| 2014.09 ~ 2014.12 | 고려사이버대학원 외래교수 | 
| 2012.03 ~ 2016.08 | 경희사이버대학교 강사 | 
| 2012.03 ~ 2012.08 | 한국체육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 
| 2011.09 ~ 2014.12 |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 
| 2009.09 ~ 2009.12 | 한양대학교 여성학 협동과정 강사 | 
| 2007.09 ~ 2007.02 | 서울시립대학교 강사 | 
| 2007.03 ~ 2007.12 | 한양대학교 대학원/교육대학원 강사 | 
| 2006.09 ~ 2017.02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 | 
| 2006.09 ~ 2017.02 | 연세대학교 강사 | 
| 2005.06 ~ 2006.05 | 일리노이대학 방문강사(Visiting Lecturer) | 
연구실적
| 날짜 | 내용 | 
|---|---|
| 2018.07 ~ 2021.06 | 연구책임자, 중견연구자지원사업(단독),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386세대’ 연구를 통한 세대 이론의 비판적 재구성: 세대 정체성, 관계론적 접근, 계급과 젠더와의 접합) | 
| 2007.03 ~ 2007.08 | 국연구재단 전임연구원 인문사회기초공동연구(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과제명: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 연구: 사회병리현상과 연관하여 | 
| 2007.09 ~ 2008.09 | 박사후연수,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산학협력단),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한국 대학생의 단기 해외 연수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적 연구: 사립대학의 세계화 전략으로서의 어학연수와 교환학생 프로그램) | 
| 2009.11 ~ 2010.10 | 연구책임자,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인문사회기초 단독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대학의 동상이몽에 관한 문화기술지적 연구) | 
| 2010.11 ~ 2011.10 | 공동연구원, 사회과학지정주제 사업(공동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현대한국사회의 문화적 풍경: 핸드폰, 택배, 방, 라면을 중심으로) | 
| 2016.09.01 ~ 2017.08.30 | 연구책임자, 시간강사연구지원 사업(단독),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대형도심사찰에서의 남녀불교인의 종교적 실천: 한마음선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논문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19.12 | 대행선사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과 성별 공성(性別空性) | 사회사상과 문화 | - | 
| 2018.12 | 세월호 참사를 통한 폭력과 신자유주의에 대한 재사유 | 문화와사회 | - | 
| 2018.09 | 도심 대형사찰 한마음선원에서의 종교적 실천과 젠더 | 사회사상과 문화 | - | 
| 2016.12 | “‘마음’의 학문적 재발견: 개인과 집단의 마음, 그리고 한마음” | 문화와사회 | - | 
| 2013.01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소재 사립대학 비교” | 한국문화인류학 | - | 
| 2010.04 |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 Comparative Korean S | - | 
| 2009.06 | “College rank and neo-liberal subjectivity in South Korea: the burden of self-development”(with N. Abelmann & H. Kim) | Inter-Asia Cultural | - | 
| 2009.12 | “‘자기관리’와 ‘가족경영’ 시대의 불안한 삶: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주체” | 경제와사회 | - | 
| 2008.05 | “Gendered Subjectivity of Anthropologist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nthropological Knowledge” | 한국문화인류학 | - | 
| 2007.09 | “Educational manager mothers: South Korea's neoliberal Transformation” | Korea Journal | - | 
| 2007.05 | “공간적 위계수사와 구별짓기: 강북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내러티브” | 한국문화인류학 | - | 
| 2004.12 | “Class and Cosmopolitanism: Mothers’ Management of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With Nancy Abelmann) | Anthropological Quar | - | 
교수저서
| 날짜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 2019.02 | 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 울력 | 공동 | 
| 2018.03 |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 방법론 | 휴머니스트 | 공동 | 
| 2017 | 신자유주의시대의 교육 풍경: 가족, 계급, 그리고 전지구화 | 올림 | - | 
| 2013 | 한국사회의 문화 풍경 | 그린 | - | 
| 2013 | No Alternative? Experiments in South Korean Education | University of Califo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