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우 사진
김태우
직급
조교수
전화번호
031-870-3809
이메일
dogaby98@shinhan.ac.kr
연구분야
통섭적 글쓰기, 민속학, 구비문학
연구실
믿음관 5034호

세부내용

학력사항

날짜 내용

2008.02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1997.08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1995.08

경희대학교 이학사

경력사항

날짜 내용

2020.08.24. ~ 현재

경기도청 경기도문화재 전문위원(비상근)

2022.12. ~ 2023.12.

의정부시평생학습원 자문위원

2023.01.01. ~ 2024.12.31.

(사)한국민속학회 부회장

2020.08 ~ 2023.08

경기도문화재전문위원

2020.04 ~ 2022.03

노원구문화원 연구위원

2019.03 ~ 현재

신한대학교 조교수

2019.02

한국민속학회 기획이사, 서울민속학회 연구이사

2017.02 ~ 2019.01

한국민속학회 연구위원

2014.05 ~ 2017.05

경기도청 문화재전문위원

2011.09 ~ 2014.02

국립민속박물관 전문위원(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팀장)

2011.05 ~ 2012.05

경기도청 문화재전문위원

2010.07 ~ 2011.06

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

2008.09 ~ 2010.06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

2003.09 ~ 2008.06

경희대학교 시간강사

연구실적

날짜 내용

2022.09.27. ~ 2023.06.26.

파주DMZ 및 탄현민통선기록사업(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연구원/파주중앙도서관)

2021.05 ~ 2024.04

민속학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 전통 천문지식의 분류와 종합적 연구: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연구책임자/한국연구재단)

2021.07 ~ 2022.01

연천군 백학면 문화자원 및 민속조사(연구책임자/아침해협동조합(연천군 백학면))

2021.06 ~ 2021.09

중국 회회 천문학 연구기반 확보를 위한 기획연구 용역(연구책임자/한국천문연구원)

2020.11 ~ 2022.04

신규양수주변지역(경기 포천) 민속자료 조사연구 용역(공동연구원/한국수력원자력(주))

2020.03 ~ 2021.02

파주 DMZ 및 옛 장단지역 일원 역사민속문화 기록화 사업(공동연구원/파주중앙도서관)

2019.03 ~ 2019.11

경기 마을조직 및 의례 관련 자료 조사 수집(공동연구원/국사편찬위원회)

2019.02 ~ 2019.11

평택의 사라져가는 마을 조사연구(책임연구원/평택문화원)

2018.03 ~ 2018.10

국사편찬위원회 지역사 자료 조사수집사업(경기 북부 마을조직 및 의례 관련 자료 조사 수집)

2018.03 ~ 2018.10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지원사업(조선시대 서울 국행의례처의 장소성과 전승 양상 :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2017.06 ~ 2017.12

조선후기 한양의 경강 연구 용역(서울역사박물관)

2016.05 ~ 2019.04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천문?세시?농경의 상관성과 전통지식에 대한 연구)

2016.03 ~ 2016.10

국사편찬위원회 지역사 자료 조사수집사업(경기 남부 마을조직 및 의례 관련 자료 조사 수집)

2014.07 ~ 2016.06

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사업(19세기 후반~20세기 서울 지역사회와 의례 주도 집단: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

2015.10 ~ 2015.12

경기옛길 속 민속: 영남길 속 삶의 기억 조사 집필(경기문화재단)

2014.04 ~ 2014.10

국사편찬위원회 지역사 자료 조사수집사업(근현대 서울 지역 동제 관련 자료 조사 수집)

2013.03 ~ 2013.10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 수집 지원사업(재중 동포(중국 조선족) 관료의 역사적 경험과 생활 : 길림성 안도현 퇴직 관료들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2010.07 ~ 2011.06

한국연구재단 보호학문분야강의지원사업(일제강점기 서울 지역사회와 공동체의례의 변화)

2010.03 ~ 12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일생의례(경기도편) 조사 집필

2009.07

서울 녹번제1구역 3지구 주택재개발 정비구역 내 문화재 지표조사 참여

2008.12

서울 용두동 주택 재건축 정비구역 문화재 지표조사 참여

2008.11 ~ 12

경기에코뮤지엄 탄도항 누에섬 관련 풍어제 사례 분석 및 연계 방안 조사 집필

2008.09

서울 미아9동 1구역 주택 재건축 정비구역 문화재 지표조사 참여

2006.12

『화성의 민속』조사 집필

2002.08 ~ 2005.07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육성지원사업 『남한강 수운의 전통과 민속』연구 참여

2003

『강화사』 편찬사업 조사 집필

2002

서울-연천(동두천)간 고속도로 건설 예정부지 문화유적 지표조사 조사 집필

2001

『충주 산척면의 문화 유적』조사 집필

2000.12

경기도 포천군 우금 2리, 마전 3리 민속 조사 집필

2000

『충주 엄정면의 문화 유적』조사 집필

1999

『충주 노은면의 문화 유적』조사 집필

1998

구리-판교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지표조사 집필

1995

『구리시 갈매동 도당굿 종합학술조사』참여


교수논문

날짜 내용 발표잡지/출판사 저자

2023.12.31.

임진강변 민통선 지역 주민의 개척과 경계 넘나들기(경계연구 제2집 2호)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단독

2023.12.31.

의정부의 마을 공동체 의례의 현황과 특징 - 호원1동 다락원마을과 자일동 귀락마을을 중심으로 - (회룡문화 37호)

의정부문화원

단독

2023.12.20.

전통지식으로서의 한의약 지식의 전승 현황과 무형유산적 가치:서울시 동대문구 약령시장의 한약업사와 한약재상을 중심으로(『무형유산』 15호)

국립무형유산원

단독

2022.12

전통 천문 지식의 범주와 연구의 방향: 전통지식과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중심으로(『동방문화와 사상』13), 31~65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단독

2022.08

미군기지 주변 지역의 변화와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적 대응과 실천: 의정부 가능동과 고산동 빼벌마을을 중심으로(『민족문화연구』96호), 455~49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단독

2022.02

「용산구 둔지산의 장소성 소멸 과정과 복원에 대한 시론: 남단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와 고증을 중심으로」『서울과역사』110, 165~225

서울역사편찬원

공저

2021.12

「경기지역 민속 조사와 연구를 위한 전략: 체계성과 지속성을 중심으로」, 『경기민속학』5호, 41~56

경기민속학회

단독

2021.12

「마을 의례에서 소 희생의 양상과 관련 조직에 대한 시론: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한국문학과예술』40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단독

2021.11

「좀생이별보기 풍속의 전국적 현황과 통계적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전국 세시풍속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민속학연구』49, 55~110

국립미술박물관

공저

2021.02

「광복 이후 경기 남부 마을 조직의 현황과 운영에 대한 시론:조직 명칭과 의례 조직의 몇몇 사례를 중심으로」,『민족문화연구』90, 529~56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단독

2020.11

「천문현상에 따른 풍흉ㆍ길흉 예측의 천문학적 분석과 민속적 의미: 좀생이별보기와 달점치기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47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19.12

「조선시대 부군당 출현의 역사적 맥락과 존재 양상에 대한 고찰」,『서울민속학』6

서울민속학회

-

2019.08

「고문헌에 나타난 천문현상에 따른 풍흉과 길흉 예측-해, 달, 별을 통한 예측과 민속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8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2018.12

「한강 유역 국행 기우제 터에 대한 기억과 변화: 한남동 용단마을, 보광동 우사단마을, 광장동 용당산을 중심으로」『동아시아고대학』52

동아시아고대학회

-

2018.12

「농경과 세시 풍속의 상관성 연구: 이앙법의 보급과 단오 풍속의 변화를 중심으로」,『정신문화연구』41-4(통권15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8.11

「조선시대 한강 유역 국행 의례 제장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7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2018.08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 기반한 교재 체계의 운영 방안 연구」,『후마니타스 포럼』4권 2호(통권8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

2017.12

조선시대 역서(曆書)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왕권의 상징에서 대중적 실용서로」, 『민속학연구』제41호

국립민속박물관

-

2017.06

「24절기와 세시 체계의 의미와 상관성에 대한 연구」(공저, 제1저자), 『민속학연구』제40호

국립민속박물관

-

2015.08

「민속 지식의 기록, 유형(有形) 자료의 존재 양상과 기능: 서울 지역 공동체의례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민속연구』31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2013.09

「일제강점기 서울 지역사회와 의례 주도 집단의 변화 : 장충동 지역과 관성묘 영신사를 중심으로」,『문화재』46

국립문화재연구소

-

2013.05

「조선 후기~일제강점기 도시지역 민속의 주도 집단, ‘民’에 대한 개념의 확장:서울 지역 공동체 의례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57

한국민속학회

-

2011.02

「대한제국기 서울 마포 지역사회와 공동체의례 주도집단에 대한 연구 : 1903년 마포동 마을제당 현판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42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

2010.07

「광복이후 서울 서빙고 지역사회와 공동체 의례 주도집단의 변화: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에 대한 시도」, 『한국민족문화』37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2010.02

「19세기후반~20세기 초 서울 서빙고 지역 부군당 의례 주도 집단 연구 : 1875.1891.1903.1927년 부군당 현판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28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

2010.02

일제시대 서울 서빙고 지역과 부군당 중수집단 연구 : 1927년 정묘년 부군당 중수기를 중심으로」,『한국무속학』20집

한국무속학회

-

2009.08

「조선후기 서빙고 지역 부군당 주재집단의 성격과 변화」,『한국무속학』19집

한국무속학회

-

2008.11

「도시 지역 공동체 의례 주재 집단의 대응전략과 전통의 현대화」,『한국민속학』48호,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회

-

2008.02

「서울 한강 유역 부군당 의례 연구:전승과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2007.06

「한강 유역 부군당의 제도적 요소와 의례의 변모:도시민속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11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2005.12

「일제~70년대 ‘장별신’연구-시대별 양상과 장시 발달 과정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9권2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2004.12

「남한강 유역의 동제1」,『한국문화연구』9집,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2004.02

민속현상에 나타난 ‘別神’의 의미 - 명칭의 유래와 분포 실태를 중심으로 -」, 경희어문학 24집, 경희대 국문과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

2001.12

「동제당 철마 봉안 사례 연구」,한국민속학 34집,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회

-


교수저서

날짜 내용 발표잡지/출판사 저자

2023.06

민통선과 함께 살아온 임진강변 탄현 6개 마을(8인 공저, 공동연구원)

파주중앙도서관

공저

2022.10

38선과 휴전선을 품은 백학(7인 공저, 연구책임자)

연천군청

공저

2022.06

『(포천 양수발전소 예정지역 민속과 역사: 흰구름 머무는 곳에 물길도 쉬어가다』

한국수력원자력(주)-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저

2022.02

『민속학 첫걸음』, 172~211, 323~357

민속원

공저

2021.12

『동대문구의 무형문화유산』, 134~178

동대문구

공저

2021.12

『의정부 변화의 시작, 신곡동』, 132~173

의정부문화원

공저

2021.02

『파주 DMZ의 오래된 미래, 장단』, 59~93, 197~217

파주중앙도서관

공저

2020.11

『경북동해생활문화총서2: 경북 동해의 민속과 생활』, 13~37, 249~277

경상북도

공저

2020.11

경북동해생활문화총서2: 경북 동해의 민속과 생활

경상북도

공저

2019.12

2019 평택의 사라져가는 마을 조사보고서

평택문화원

공저

2019.12

서울역사답사기: 3

서울역사편찬원

-

2019.06

쉽게 읽는 서울사: 조선편(공저)

서울역사편찬원

-

2018.12

경기도의 예인과 장인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학연구센터

공저

2018.03

서울의 공동체의례와 주도집단: 19세기말 이후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

민속원

단독

2018.02

지하철을 탄 서울 史

서울역사편찬원

공저

2017.12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공저)

서울역사박물관

-

2017.12

한강 유역 부군당 의례의 전승과 변화 양상

민속원

단독

2015.12

경기옛길 속 민속: 영남길 속 삶의 기억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공저

2013.05

도시인문학연구소 편,「대한제국기 서울 마포 지역사회와 공동체의례 주도집단에 대한 연구」, 『도시:상징.자본.공공성』, 라움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공저

2011.12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11

한국인의 일생의례: 경기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공저

2010.11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09.11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2007.04

민속문화의 조명과 새 지평

민속원

공저

2004.09

고전문학 다시 읽기

민속원

공저

2002.11

전설과 지역문화

민속원

공저